재테크/연금저축5 연금저축 계좌 2025-6 현재의 상태대현재 주식비중은 52% 현금비중은 48%입니다저번에 42% 이고 현재 45%가 적당한 거 같은데 매수하다 보니 52%가 되었습니다.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생겨 보수적으로 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증시의 반응이 크지 않은 것 같아서 그냥저냥 가져가도 될 듯싶습니다. 5월 달과 비슷하게 조정이 오면 주식 비중을 올릴 것이고조정이 안 오고 지속적인 상승을 한다면 천천히 주식비중을 올릴 것입니다. 억지로 월 단위로 증시에 있었던 일을 적는 것도 별 의미가 없을 것 같고.연금저축의 계좌에 관해서 쓸 것이 마땅히 없어서 월 단위에서 분기별로 주기를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2025. 6. 20. 연금저축계좌 2025-05 현재의 상태현재 주식비중은 42% 현금비중은 58%입니다처음엔 보수적으로 하려 했으나 입금액이 거의 10%인 상황에서 굳이 이렇게 기대 수익률을 줄일 필요가 있나 싶어서 비중을 올릴 예정입니다.또한 추가적인 하락을 기대하며 욕심을 내어보았지만 추가적인 하락이 나오지 바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하염없이 하락을 기다리다 상승을 놓치는 일을 없애기 위해 하락을 하지 않아도 주식의 비중을 슬슬 늘릴 예정입니다.차트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겠지만 차트로 보면 마치 이번 -20% 하락이 끝일 거라는 느낌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s&p는 아래의 링크에서의 글처럼 10 퍼하락 20 퍼 하락 이후에도 지속적인 상승을 대부분 보였습니다. 주식의 비중을 늘리기 좋은 타이밍은 언제일까 - 매수 타이밍장단기 금리차 10-Yea.. 2025. 5. 18. 연금저축계좌 2025-04 매매내역습관성 매매에 의한 차트 이야기2만 원대 빨간 부분이 저번에 글을 작성했을 때의 매수 구간이고 반등이 오면 일부 정리한다고 했었고2.1만 부근에서 일부 정리를 하고 1.8만 원대에서 매수를 했습니다. 그리고 큰 반등이 나온 2만 원 대에서 다시 소량 매도 했습니다. 이것은 사실 지금 이 계좌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입금액이 50만 원으로 10% 이상을 차지하고 소액이기 때문에 의미 없는 행동이지만 습관성 매매로 인해 매매를 했기에 내역을 올려봅니다. 1.8만 원에서의 매수는 -20% 도달 + 전고점 라인 이기 때문에 매수하였습니다.2.1만 원에서 일부를 정리한 이유는 이동평균선 2.13만 원에서의 저항선 때문에 정리를 하게 된 것입니다.그다음 2만 원에서 정리한 것도 이전의 전저점의 저항 및 하락추.. 2025. 4. 12. 연금저축계좌 2025-03 기존 주식 : 현금 _ 25 : 75오늘 매수하기 전의 주식비중은 24%입니다25% 정도로 맞추고 있었는데 하락으로 인해 비중이 또 내려갔네요저번 글을 올리고 며칠 후에 다우랑 니프티도 없애고 37%인 것을 25%로 낮추었습니다.나스닥 top10이 더 비중이 낮은 이유는 에센피에 비해 더 깊은 하락이 나오기 때문에 더 낮은 비중으로 들고 있었습니다.이 비중은 가격이 내려감에 따라, 주식비중이 올라감에 따라 비슷하게 맞춰지거나 나스닥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현재의 비중 주식 : 현금 _ 30 : 70이제 비중을 다시 맞춰 현금은 70% 주식은 30%로 7:3으로 해놓았습니다.이 정도면 좀 보수적인 투자라고 생각되네요더 많이 사고 싶은 욕심이 나긴 합니다.만약 여기서 더 하락이 안 나오면 주식 비중은 최.. 2025. 3. 11.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계좌연금저축계좌를 이제부터 쓸 예정입니다.2025년이 되기 전에 미래에셋에 300만원이 있는 상황이었고, 대충 계획을 잡아놔서이제부터 월 50만원씩 넣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주기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지속적으로 올릴 예정입니다.이 글은 비전문가의 메모장이므로 스스로 잘하시길 바랍니다. 연금저축계좌는 세액공제과 과세이연 혜택을 받기 때문에 아주 좋은 계좌입니다. 현재 연금저축은납입할 때에는 세액공제[13.2~16.5%]를,이 돈을 운용할 때에는 과세이연[ETF(해외주식형 ETF)에서 나온 수익(배당소득세)에 대한 세금을 미룸],수령할 때에는 낮은 세율[3.3~5.5%]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것은 추후 바뀌게 될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 & 세액공제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소득공제소득공제는 .. 2025. 2.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