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주식 : 현금 _ 25 : 75
오늘 매수하기 전의 주식비중은 24%입니다
25% 정도로 맞추고 있었는데 하락으로 인해 비중이 또 내려갔네요
저번 글을 올리고 며칠 후에 다우랑 니프티도 없애고 37%인 것을 25%로 낮추었습니다.
나스닥 top10이 더 비중이 낮은 이유는 에센피에 비해 더 깊은 하락이 나오기 때문에 더 낮은 비중으로 들고 있었습니다.
이 비중은 가격이 내려감에 따라, 주식비중이 올라감에 따라 비슷하게 맞춰지거나 나스닥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현재의 비중 주식 : 현금 _ 30 : 70
이제 비중을 다시 맞춰 현금은 70% 주식은 30%로 7:3으로 해놓았습니다.
이 정도면 좀 보수적인 투자라고 생각되네요
더 많이 사고 싶은 욕심이 나긴 합니다.
만약 여기서 더 하락이 안 나오면 주식 비중은 최소 30% 이상으로 둘 것이고
반등이 나오고 재 하락이 나온다 생각이 들면 최소비중 30%를 지키면서 어느 정도 익절을 해 놓을지 않을까 싶습니다.
매수 예정시기
S&P500을 기준으로 매수 타이밍을 잡을 것입니다.
각 하락 포인트마다 해당 비중에 맞춰 매수를 할 예정입니다. 이것은 대략적인 제 매수 기준입니다.
그리고 지금 3:7 지점에서, 고점대비 10% 하락한 지점에서 주식 비중을 3으로 맞추었습니다.
하루하루 리밸런싱 하다 보면은 밑에서 매수하려 했을 때 생각보다 더 현금이 별로 없을 수 있습니다.
퍼센티지로 리밸런싱을 해주는 것보다는
현금이 좀 쌓여있는 계좌라면은,
만약 1억이 있는 계좌라면은 -10% 자리에서 천만원, -20% 자리에서 2천만원 매수..로 고정적인 매수를 하는 게 더 쉽고 간단하며 실수를 줄이는 데에 좋을 듯합니다. 선택은 자유
-10% 1천만원 [1000]
-15% 1천만원 [2000]
-20% 1천만원 [3000]
-25% 1천만원 [4000]
-30% 1천만원 [5000]
-35% 1천만원 [6000] ...
30%하락이 정말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비중조절을 한다면 비중은 달라질 것입니다. -5%당 1500씩 매수를 할 수도 있겠군요
늘 하던 말 반복
돈이 정말 잃기 싫어서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더 적은 금액으로 해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1000만원 투자가 어렵다면 100만원으로 하는 것입니다.
이것마저도 불편하다면 그냥 뭔가 많이 떨어진 것 같았을 때마다 일정금액을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적립식 투자에서 이야기했듯이 말이죠
제가 정해드린 기준은 아무 기준이 없는 분들을 위한 매수타이밍에 대한 제시를 한 것입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지수추종을 베이스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TQQQ, SOXL, TSL, TMF 같은 레버리지 ETF는 단기 외에는 존버를 해서는 안됩니다.
하락장이라고 해서 SQQQ [ 숏 ETF(나스닥 1% 하락 시 3% 상승) ] 같은 것을 매매해서도 안됩니다.
매매를 많이 해왔던 사람이 아니라면은 매우 위험합니다.
하락장 도중에서의 큰 반등이 나오면 SQQQ는 한 번에 녹아내릴 것입니다.
이처럼 한 번의 큰 움직임에 엄청난 계좌변동이 생기는 레버리지 ETF 상품의 매수는 지양해야 합니다.
지금이 바닥인 것 같아서 풀매수나 많은 주식비중을 가져가는 것과
더 내려갈 것 같아서 다 팔고 현금 100%을 만드는 것은 후회를 가져올 확률이 높습니다.
늘 하는 말이지만..
지금이 바닥인 것 같아도 풀매수 하지 않고 적당히 매수하여 추가하락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또한, 더 내려갈 것 같아서 다 팔고 밑에서 더 사고 싶어도 참아야 합니다.
댓글